
(라운지 에디터) 지난 3편에서는 해외 수출기업에게 필요한 EcoVadis의 방침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 위한 지표들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중견/중소기업의 현실적인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방안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기고시리즈 : ESG초보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Step 4. ESG의 꽃,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하기
- 중견/중소 기업의 알맞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정보수집의 어려움과 디자인・인쇄 비용 때문에 중소/중견 기업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는 것은 큰 의사결정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최근 트랜드를 살펴보면 종이 보고서는 점차 사라지고 있고 ESG 정보를 공시하는 홈페이지와 마이크로 사이트 등을 통해 비용을 줄이면서 수시로 이루어지는 외부 ESG 평가에 대응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앞선 기고문에서 언급하였던 EcoVadis나 K-ESG 등의 평가에서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유무가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만큼, 각 분야에서 앞서나가는 기업일수록 더욱 적극적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을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평가대응이나 외부 ESG 정보공시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나, 직접 발간한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ESG 체계를 구축하고 점검하는데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입을 모아 말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발간 과정을 통해 우리 회사의 비전과 실행 체계, 점검 과정을 살피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ESG 경영을 내재화하였다고 이야기 합니다. 특히, 이해관계자가 원하는 것들을 명확히 파악하고 중대성 평가를 통해 한정된 자본과 시간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를 판단하였던 것이 가장 큰 수확이라고 하였습니다.
-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우리 학창시절을 되돌아보면, 쪽지시험은 내 옆자리에 앉은 짝에게 채점받기도 하는 반면, 학력고사나 수능시험과 같이 큰 시험일수록 공인된 기관에서 채점을 받아 점수를 활용하게 됩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기업의 정식 공시자료로 활용됨으로써 보고서의 신뢰도는 더욱 중요한 문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잘못된 ESG 정보를 믿고 투자한 투자자 또는 기관이 문제를 삼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법적・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에는 ‘제3자 검증’이라는 것이 반드시 따라오게 되고,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안에 기재된 정량적・정성적 정보에 대해 객관적인 외부 검증을 실시하게 됩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우리 회사가 하고 싶은 말 이외에도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UNGC(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6000,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등 다양한 글로벌 기준에 따라 작성하게 됩니다. 글로벌 기준들은 객관성, 공정성, 투명성을 강화하고자 더욱 세분화, 수치화 되고 있습니다. ESG 관련 담당자 또는 임원진이 수많은 글로벌 기준들을 외워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 회사에서 공시해야 하는 ESG 정보와 공시한 ESG 정보가 타당한지 제3자 검증을 통해 파악한다면 더욱 신뢰성 있고 효율성 있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향후 ESG 공시가 의무화될 경우 1년에 한번씩 발간하는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통합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미 국내에서도 IIRC(International Integrated Reporting Council)라는 기준에 따라 연차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결합된 통합보고서를 발간하여 인적・물적 비용을 줄이는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ESG 경영실천과 ESG 평가에 있어서 ESG 정보를 이해관계자에게 공시하는 것은 필수 요소입니다. ‘ESG 비전 수립 – ESG 실행과제 도출 – ESG 자가진단 실시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을 통해 우리 회사의 ESG 전략과 추진성과를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에게 알리고 제3자 검증을 통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면 지속가능한 기업으로써 거듭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글쓴이 : 서동욱 박사


● ESG 경영 서비스 바로가기 >>
● 문의 한국경영인증원 지속가능경영센터 02-6309-9044, 9049, 9017
관련 TAG
#ESG, #ESG경영, #사회적 책임, #지속가능경영, #지속가능경영보고서, #ISO